시너지칼럼 포커스 연구성과 연구원동정 BSRC사업단소식
(재)유전자동의보감사업단 뉴스레터

연구원동정

August2021

  • 건국대학교 김형석 교수, “메타버스 열풍 : 활용과 전망”의 제목으로 조선일보 Asian Leadership Conference Webinar에 Moderator 및 Speaker 발표
  • 한국과학기술원 안성진 연구원, “Variational Graph Normalized Auto-Encoders“의 제목으로 바이오 네트워크에서의 신물질의 상호작용 예측을 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The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CIKM)에 논문 발표
  • 연세대학교 송민 교수, Journal of Biomedical Informatics (SCIE) 저널에 'BioPREP: Deep Learning-based Predicate Classification with SemMedDB' 논문 게재
  • 광주과기원 남호정 교수 연구팀, 유전자 발현 정보 기반 약물재배치 AI모델 연구 논문 Journal of Chemical Information and Modeling 지에 게재
  • 광주과기원 남호정 교수, 강남 세브란스 혈관대사연구소 심포지엄에서 AI기반 신약개발 기술 주제로 강연
  • 울산과학기술원 박지영 교수님 연구팀, 국내특허 등록 (카타폴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제10-2287236호)
  • 서울대학교 박태성 교수, “헬스 스페이스 모델을 이용한 건강 상태 정보 시각화 장치 및 방법” 특허 출원
  • 광주과학기술원 이선재 교수,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병태생리연구회에서 인체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주제로 초청 강연

July2021

  • 유전자동의보감사업단 이도헌 단장, “인공지능 가상인체 기술을 이용한 식약품 소재 개발기술”의 제목으로 제19회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 & 투자포럼 2021에 발표
  • 한국과학기술원 안성진 연구원, “이질형 그래프에서의 간선 예측을 위한 고차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의 제목으로 한국정보과학회 논문지 우수발표논문 선정 및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투고
  • 연세대학교 송민 교수, '텍스트마이닝 통합 파이프라인을 활용한 천연물-질병 간 가설생성 기법'을 제목으로 제19회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 & 투자포럼 2021에 발표 및 포스터 발표
  • 광주과기원 남호정 교수, ASLLA 심포지엄에서 AI기반 신약개발 기술 주제로 강연
  • 세종대학교 양현옥 교수, “세신, 길경 및 계지 중 2종 이상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목으로 제19회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 & 투자포럼 2021에 발표
  • KIST 김준기 박사, “전통천연물 MC 특화 iHTac 시스템 기술”의 제목으로 제19회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 & 투자포럼 2021에 포스터 발표
  • 경희대학교 김호철 교수, “천연물 소재·정보 라이브러리 : 동의보감소재은행”의 제목으로 제19회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 & 투자포럼 2021에 포스터 발표
  • 성균관대학교 정상전 교수, 제 26회 연세 송당 암 연구센터 국제 암 심포지엄에서 “A Novel IgG Fc-specific Cross Linkers of Homogeneous Antibody-Drug Conjugate(ADC)”의 제목으로 강의
  • 성균관대학교 정상전 교수, KSBMB DDC 제주 워크숍 참여, 제주, 2021.07.28.-31
  • 연세대학교 권호정 교수, 제주 휘닉스제주섭지코지에서 2021.07.07.-07.09에 개최된 ‘제19회 인터비즈 바이오-파트너링 및 투자포럼 2021’에 참석하여 연구실 보유 특허 기술 소개 및 기술이전 타당성 협의
  • 울산과학기술원 박지영 교수님 연구팀, “DSCR1 upregulation enhances dural meningeal lymphatic drainage to attenuate amyloid pathology of Alzheimer's disease” 알츠하이머 질병에서 DSCR1이 아밀로이드 -β 응집체 제거를 촉진시킨다는 기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The Journal of Pathology (IF: 7.996, 상위 6.49%) 에 논문 발표
  • 이화여대 권오란 교수,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Quantitatively Diagnosing Oxidative Stress Risks in Healthy Adult Individuals Based on Health Space Methodology: A Proof-of-Concept Study Using Korean Cross-Sectional Cohort Data”의 제목으로 데이터 기반 정밀 영양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가능한 접근 방식에 대한 내용으로 Antioxidants 학술지에 논문 게재
  • (주)뉴트리 이진희 부사장 (위탁연구책임자), '2021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에서 '기술진보상' 수상 (2021. 7. 8, 대전컨벤션센터)
  • 서울대학교 박태성 교수, “The Homocysteine and Metabolic Syndrome: A Mendelian Randomization Study”의 제목으로 Nutrients 13 (7), 2440 에 논문 게재
  • 서울대학교 박태성 교수, “Penalize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approach to longitudinal data with multinomial responses”의 제목으로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1-16 에 논문 게재

June2021

  • (재)유전자동의보감사업단 이도헌 단장, 경남대학교 산합협력단 주최 보건 의료빅데이터 AI연구회 특강 강연
  • 한국과학기술원 안성진 연구원, 바이오 네트워크에서의 물질간의 상호작용의 예측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정보과학회에 “전달성 커널을 사용한 그래프 컨볼루션 네트워크 기반 간선 예측”와 “이질형 그래프에서의 간선 예측을 위한 고차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 논문 발표
  • 한국과학기술원 김선영 연구원, 초대규모 생물정보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지식 증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에서의 이상 탐지를 위한 지식 증류” 논문을 한국정보과학회에 발표
  • 연세대학교 송민 교수, Genes (SCIE) 저널에 'Toward a Coronavirus Knowledge Graph' 논문 게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현범 박사, “지방산 합성 효소 억제제의 스크리닝을 위한 방법, 조성물 및 키트” 특허 등록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병화 박사, “Comparative metabolomics and lipidomics study to evaluate the metabolic differences between first- and secondgeneration mammalian or mechanistic target of rapamycin inhibitors”의 제목으로 Biomedical chromatography에 논문 게재
  • 세종대학교 양현옥 교수, “Neuroprotective Effect of Astersaponin I against Parkinson's Disease through Autophagy Induction”의 제목으로 Biomolecules & Therapeutics에 논문 게재
  • 한국과학기술원 박현규 교수, “Identification of thyroid hormone/thyroid hormone receptor interaction based on aptamer-assisted protein-induced fluorescence enhancement”의 제목으로 짧은 시간 내에 단백질-소분자 상호작용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개발,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지에 발표
  • 성균관대학교 정상전 교수, “전통의학과 천연물빅데이터 구축 및 연계분석을 통한 치료표적 발굴 및 치료제 개발 기술” 특허 출원
  • 연세대학교 권호정 교수, ‘저분자 화합물을 활용한 세포소기간 상호소통의 분자사회적 기능 해석’이라는 주제로 한국연구재단의 2021년 기초생명분야 리더연구자 사업 (구 창의과제) 선정
  • 연세대학교 권호정 교수, “Daptomycin suppresses tumor migration and angiogenesis via binding to ribosomal protein S19 in humans”의 제목으로 Journal of antibiotics에 연구결과 발표
  • 연세대학교 권호정 교수, 부산 BEXCO에서 2021.06.30 - 07.02에 개최된 10th Asia-Oceania Human Proteome Organization Congress 학회에서 AOHUPO 회장으로서 개회 및 좌장을 진행하여 학술회의 및 진행을 총괄
  • 연세대학교 권호정 교수, 부산 BEXCO에서 2021.06.30 - 2021.07.02에 개최된 10th Asia-Oceania Human Proteome Organization Congress 학회에 장윤영 외 4명(김다솔, 고민정, 곽은지, 엄호현)의 참여연구원은 포스터 발표를 통해 국내 외 관련 연구자와의 연구 내용 교류
  • 중앙대 전향숙 교수 연구팀, “천연물 상호작용 분석 시스템 및 방법” 노하우 (know-how) 기술이전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