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소재분야
양현옥 세종대학교 교수
연구명
벌개미취의 활성성분을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 효능 검증
SUMMARY
벌개미취의 활성성분을 이용하여 파킨슨병에서 발생하는 도파민성 세포 사멸에 대해 자가포식 조절을 통한 뇌 보호 활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배경
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은 도파민 분비 저해로 운동 능력 저해가 발생하는 질병이다. 병리적인 특징으로 중뇌 흑질의 도파민성 세포 사멸이 뇌 속에서 관찰되기 때문에 현재 시판되는 치료제들은 부족한 도파민을 보충해 주는 역할만 하고 근본적인 치료는 어려운 상황이다. 더욱이 이러한 치료제들의 장기복용으로 인해 약물의 효능이 점진적으로 떨어지고 일부에선 해당 약물로 인한 질병이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수술적인 치료로 뇌심부 자극술을 진행하고 있지만 수술을 통해 효과를 볼 수 있는 환자를 선별하여 진행하여야 하며 오히려 수술 전보다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상황도 발생하기 때문에 파킨슨병의 근본적인 치료에 대한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연구내용
[그림 1] 활성성분의 자가포식 활성 효능 확인
[그림 2] 파킨슨병 세포 실험 모델을 활용한 효능 확인
[그림 3] 파킨슨병 동물 실험 모델을 활용한 효능 확인
세종대학교 양현옥 교수 연구팀은 벌개미취에서 유래된 성분인 astersaponin I(AKNS-2)과 세포 및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파킨슨병에 대한 AKNS-2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벌개미취의 활성성분인 AKNS-2를 처치 후 세포내 자가포식과 관련된 단백질들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했고 파킨슨병 세포 모델에서는 도파민 생성에 관여하는 TH 단백질의 발현이 자가포식 억제제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도 자가포식과 관련된 단백질들은 물론 파킨슨병 마커 단백질들의 발현이 AKNS-2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함으로써 파킨슨병에 대한 AKNS-2의 활성은 자가포식 활성을 통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성과
이 실험을 통해 벌개미취의 활성성분이 처치된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 파킨슨병 관련 단백질들이 조절되는데 이는 자가포식의 활성을 통해 세포보호 활성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연구 결과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Biomolecules & Therapeutics (IF: 4.634)에 게재되었다.
기대효과
천연물은 다양한 성분의 복잡한 작용기전에 대한 상호작용이 나타나 그 효능을 확인하고 작용기전을 밝히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벌개미취 활성성분의 세포보호 효능을 확인하고 그 작용기전을 밝힘으로써 복잡한 천연물의 보호 효능 중 일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