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타목시펜 내성 유방암 치료를 위한 표적 - CYP3A4-EET 경로 기술 개발
연구과제명 : iHTac 시스템 기술 (2중과제 1세부)
연구책임자/주관기관 : 양현옥(KIST) / 강건욱 (서울대학교)
기술개요
- 난치성 유방암은 기존 항암제로 치료 효용의 한계를 보이는 유방암을 통칭하며, 여기에는 삼차음성유방암(TNBC) 및 항호르몬제 내성 유방암 등이 포함됨
- 본 연구에서는 항호르몬제 내성 유방암의 치료표적 발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약물대사 효소로 알려진 CYP3A4 매개성 EET 형성이 항호르몬제 내성 유방암의 악성화에 중요한 인자임을 규명함

기술의 우수성/혁신성
- 항호르몬제 내성 유방암의 성장에 CYP3A4 매개성 EET 형성이 관여함을 최초로 규명 CYP3A4 억제약물인 ketoconazole과 azamulin의 항암효능 입증
- Flavonoid 및 Coumarine 상당수가 CYP3A4 억제활성을 보이므로 이 기술 활용시 항호르몬제 내성 유방암 치료 활성을 갖는 천연물 스크리닝이 가능할 것임.
기술활용분야 (사업화/기술이전을 통한 제품화)
- 천연물 유효성분 발굴
- 항암활성 천연물 처방의 작용 기전 규명
- 천연물 기반 복합 신약 개발 및 효능 예측
주요연구 성과 (관련 논문, 특허 등)
- [논문게재] 2017 Oncotarget (i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