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바이오 데이터 분석 도구 개발
연구과제명 : 연구과제명 : 전통천연물 MCMT 분석을 위한 소재효능 통합 데이타웨어하우스 개발
연구책임자/주관기관 : 김명호/KAIST
기술개요
- 작용 기전 또는 바이오 개체의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 그래프의 관계 정보를 활용하여 바이오 개체 또는 개체 집합의 특성을 나타내는 임베딩 벡터 생성
- 효과적인 작용 기전 및 약물 효능 예측

기술의 우수성/혁신성
[개체 집합 임베딩 기술]
-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임의 약물 조합에 대해 효능 예측 가능
- HR@10 기준 Meetup NYC , Meetup CA, COCONUT 2.0 데이터에 대하여 기존 방법 대비 각 65%, 52%, 94%의 성능 향상
- 모델을 활용한 창이자 성분 조합의 효능 예측 결과와 in-vitro 실험 결과가 유사

주요연구 성과 (관련 논문, 특허 등)
- [국제 저널] Hyun Ji Jeong, and Myoung Ho Kim. "HGGC: A hybrid group recommendation model considering group cohesion."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136 (2019): 73-82.
- [국내 학술대회] 안성진, 김명호, “랜덤 워크 점수를 사용한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 기반 노드 분류“, 한국정보과학회 (2019)